통영국제음악당 공연 책자에 실릴 프로그램 노트입니다. 헛소리가 있다거나 맞춤법이 틀렸다거나 등등 마구 지적해 주세요. ^^
베를리오즈: 로마의 사육제 서곡
이 곡은 오페라 〈벤베누토 첼리니〉에 나오는 사육제 길거리 장면과 사랑의 이중창 등을 따와 쓴 관현악곡입니다. 오페라에서 사람들이 "아! 트럼펫 분다, 백파이프 분다, 탬버린 두드린다." 광대들이 "재주꾼 보러 오세요!" 하고 외치는 대목이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지요. 이 대목의 리듬은 이탈리아 춤곡 리듬인 살타렐로(Saltarello), 림스키코르사코프 〈셰에라자드〉 4악장에 나오는 그 광란의 리듬입니다. 떠들썩한 축제 분위기와 더불어 특히 "재주꾼 보러 오세요!" 할 때 저음 하행 음형이 매력적이고, "베네 부아, 베네 부아, 라빌 옴므!"(Venez voir, venez voir, l’habile homme!) 하는 원어 가사와도 기막히게 어울리지요.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차이콥스키는 랄로의 〈스페인 교향곡〉에 영감을 받아 이 곡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 〈스페인 교향곡〉은 제목과 달리 바이올린 협주곡이라 할 수 있는데, 차이콥스키는 무엇보다 랄로가 "심오함을 담으려 집착하지 않고, 그러면서도 뻔한 곡이 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새로운 형식을 추구하며, 독일 사람처럼 확립된 전통을 답습하는 대신에 음악적인 아름다움을 더 많이 생각한다"고 평가했습니다.
통영국제음악당에 자주 오시는 분이라면 제가 다른 글에서 몇 차례 설명한 이른바 '베토벤 딜레마'를 기억하실 겁니다. 베토벤이 고전주의를 해체하고 낭만주의 시대를 열어젖혔지만, 베토벤이 남긴 음악적 유산이 낭만주의 시대정신과 썩 잘 들어맞지는 않았다고요. 베토벤의 '논리적'이고 심오한 음악 어법과 '어둠에서 광명으로' 패러다임이 체질적으로 맞지 않았던 차이콥스키에게 이 딜레마는 무엇보다 심각한 문제였지요. 차이콥스키가 '독일 전통'에 반감을 보인 까닭이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차이콥스키가 '베토벤 패러다임'을 극복하고 대안을 제시하려 애썼던 사정을 헤아릴 때, 그가 남긴 가장 훌륭한 작품으로 바로 이 곡을 꼽을 만합니다. 차이콥스키가 〈스페인 교향곡〉을 칭찬한 말을 이 작품에 그대로 돌려줄 수 있을 듯해요. 1악장에서 3악장까지 쉼 없이 이어지며 처음부터 끝까지 귀에 쏙쏙 들어오는 선율과 리듬으로 가득한 이 곡은, 그래서 그냥 음악에 몸을 맡기고 연주자의 화려한 불꽃 테크닉을 즐기는 것이 가장 훌륭한 감상법이 아닐까 합니다.
드보르자크: 교향곡 9번 "신세계로부터"
드보르자크 '신세계 교향곡' 4악장의 저 유명한 주제는 클래식 음악을 잘 모르는 사람도 익숙하다고 느낄 만합니다. 그런 점에서 이를테면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4악장에 나오는 이른바 '환희의 송가'와 견줄 수 있겠고요. 곡 제목만 보고 갸우뚱할 사람이라도 스포츠 경기장에서 자주 들을 수 있고 이종범 선수 응원가로도 유명한 바로 그 선율, 또 386세대는 '전대협 팡파르'(?!)로 기억한다는 바로 그 선율을 듣는 순간 바로 알아챌 수 있을 테지요.
"신세계로부터"(From the New World)라는 표제는 당시에 '신대륙'이라 불리던 아메리카를 말합니다. 이 곡을 쓸 때 드보르자크는 뉴욕에 있던 아메리카 국립음악원 원장이었는데, 그 전에 프라하 음악원 작곡과 교수로 있다가 파격적인 조건으로 음악원장 자리를 제의받아 미국에 갔고, 덕분에 '신대륙' 문물과 자연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합니다. (아메리카 국립음악원은 안타깝게도 드보르자크 퇴임 이후 쇠퇴하다가 대공황을 견디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네요.)
한편, 이 작품은 롱펠로 서사시 『하이아와사의 노래』(The Song of Hiawatha)를 원작으로 하는 오페라 또는 칸타타를 쓰기 위한 실험적인 작품이기도 합니다. 하이아와사는 아메리카 토착민 부족(국가) 연합체인 이로쿼이 연맹(Iroquois League)을 만들어 이끌었다는 사람이지요. 그리고 저넷 서버(Jeanette Thurber)가 드보르자크를 국립음악원장으로 초빙하면서 미국 오페라 부흥에 힘쓸 것과 특히 『하이아와사의 노래』에 바탕을 둔 작품을 쓸 것을 조건으로 달았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끝내 오페라/칸타타가 되지는 못했습니다.
작곡가가 밝히기를, 3악장은 『하이아와사의 노래』에 나오는 축제 장면을 소재로 했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이 악장의 강렬한 리듬은 '인디언의 춤'을 상상하면서 썼다고 할 수 있겠지요. 음악학자 마이클 베커만의 의견을 좇자면, 저 유명한 2악장 잉글리시 호른 선율은 하이아와사의 구애 장면 또는 신부로 맞이한 '민네하하'와 함께 여행하는 장면에 해당합니다. 2악장이 구슬프게 바뀌는 중간 대목은 민네하하의 죽음 및 장례와 관련 있고, 음악학자 리처드 타루스킨은 2악장 선율이 중간에 살짝 끊겼다 이어지곤 하는 대목을 베토벤 교향곡 3번 2악장 '장송행진곡' 끝 부분과 견주기도 했습니다.
'신세계 교향곡'은 클래식 음악 초심자용으로 곧잘 추천되지요. 선율과 리듬이 귀에 쏙쏙 들어오고 형식 또한 깔끔하기 때문입니다. 1악장과 4악장은 소나타 형식, 2악장은 겹세도막 형식, 3악장은 스케르초와 트리오 형식이고, 관련 지식이 있는 분은 머릿속으로 짜임새를 그려 가면서 감상하시면 좋습니다. 잘 모르는 사람은 그냥 편하게 들어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