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학자 카를 달하우스는 1889년을 서양음악사에서 중요한 분기점으로 꼽으며 ’음악적 모더니즘’이 이때부터 비롯했다고 보았다. 말러 교향곡 1번과 리하르트 슈트라우스 ‹돈 주앙›이 이해에 발표되었고, 이들 작품에서 달하우스가 주목한 것은 현대적인 관현악법에서 나오는 현대적인 음색이었다.
서양음악에서 모더니즘이 절정에 이르며 조금씩 한계를 드러내던 1952년, 작곡가이자 지휘자였던 피에르 불레즈는 ‘쇤베르크는 죽었다’(Schönberg est mort)라는 도발적인 글을 써서 음악계에 화제를 일으켰다. 이 글에서 불레즈는 19세기 음악을 확장·완성했을 뿐인 쇤베르크가 아니라 현대적인 음색을 만들어낸 작곡가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이에 따라 안톤 베베른, 구스타프 말러, 클로드 드뷔시, 이고리 스트라빈스키 등이 재조명되었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불레즈를 비롯한 작곡가 출신 지휘자들이 새로운 말러 해석을 내놓았고, 현대음악에 관심 있는 전문 지휘자들이 함께 하며 큰 흐름을 만들어 갔다. 또한 오디오 기술이 발전하고 ‘마크 레빈슨’ 등 현대적인 소리를 자랑하는 명품 오디오 브랜드가 성공을 거두면서 ’현대음악가 말러’가 폭넓은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바탕이 마련되었다.
말러는 낭만주의 마지막 세대 작곡가이자 현대음악 시대를 여는데 중요한 다리 역할을 한 사람이다. 음악평론가 김문경은 말러를 낭만주의자로 보는 전통적인 말러 해석을 ‘사나운 브람스’ 계열이라 이름 붙였다. 번스타인, 텐슈테트, 바비롤리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현대적인 말러 해석은 ‘흰 건반 베베른’ 계열이라 할 수 있으며 불레즈, 길렌, 샤이, 마이클 틸슨 토머스 등을 대표적인 지휘자로 꼽을 수 있다.
말러 교향곡 1번은 관현악곡이면서도 청년 말러가 좌절을 딛고 일어선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작곡가가 직접 가사를 쓴 연가곡 ‹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를 작품 곳곳에서 인용하고 있기도 하다. 음악적 서사는 동틀 무렵부터 아침이 밝기까지의 자연의 소리로 시작해 사랑에 실패한 청년의 뒤틀린 의식세계, 지옥과 천국을 오가는 고뇌, 승리의 팡파르 등으로 이어진다.
말러는 한때 이 작품에 ‘거인’(Titan)이라는 표제를 붙이기도 했다. 이것은 장 파울의 소설 제목에서 따온 것이나 교향곡 1번이 소설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지는 않다. 지휘자 구자범은 이 작품의 음악적 서사를 근거로 ’거인’이 정신적인 깨달음을 얻은 존재이자 니체가 말한 위버멘쉬(Übermensch; 초인)와 일맥상통하는 존재라고 해석하기도 한다.
G. Mahler: Symphony No. 1 in D major
Carl Dahlhaus, a musicologist, considered the year 1889 a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and saw that ‘musical modernism’ originated from this time. Mahler’s first symphony and Richard Strauss’s ‹Don Juan› were premiered that year, and what Dahlhaus paid attention to in those works were modern sounds created by modern orchestrations.
In 1952, when modernism reached its peak in Western music and gradually revealed its limitations, composer and conductor Pierre Boulez caused a sensation in the music world by writing a provocative article titled ‘Schönberg est mort’ (Schönberg is dead). In that essay, Boulez argued that composers should take those who created modern orchestration as models, not Schönberg, who was seen as only expanding and consummating 19th-century music. Anton Webern, along with Gustav Mahler, Claude Debussy, and Igor Stravinsky, were reexamined in this context.
In the late 20th century, composer-conductors, including Boulez, came up with new interpretations of Mahler’s work. Several professional conductors joined together with them to provide a steady stream of new interpretations.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audio technology and the success of luxury audio brands, such as Mark Levinson, which emphasized high-quality sound, also contributed to Mahler’s reputation as a modernist growing in popularity.
As a composer, Mahler belongs to the last generation of romanticism,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opening the era of modern music. Music critic Moon Kyoung Kim labelled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Mahler as a romantic as ‘Ferocious Brahms.’ Examples include Bernstein, Tenstedt, and Barbirolli. On the opposite, the critic refers to the modern rendition of Mahler as ‘Webern with Ivory Keys.’ Boulez, Gielen, Chailly, and Michael Tilson Thomas can be cited as representative conductors of such.
Although this symphony is an orchestral piece, it suggests the story of the young Mahler overcoming setbacks. Additionally, there are several quotations from his own song cycle ‹Songs Of A Wayfarer›, in which Mahler had also written the lyrics himself. The musical narrative begins with the sound of nature, transitioning from dawn to a bright day. It then continues with the distorted consciousness of a young man who has failed in love, the agony of going back and forth between hell and heaven, and ultimately, a fanfare of victory.
For the second and third performances of this piece, Mahler added the title ‘Titan’ after the novel by Jean Paul. But he specified that the piece was not in any way “about” the book. However, based on the musical narrative of this piece, conductor Jahbom Koo interprets the ‘Titan’ as a being who has attained spiritual enlightenment, in line with Nietzsche’s concept of the Übermens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