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9월 5일 토요일

2009.04.29. 릴번 아오테아로아 서곡 /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 / 시벨리우스 교향곡 5번 - 시몬 트릅체스키 / 피에타리 인키넨 / 서울시향

2009년 4월 29일(수) 오후 8시
예술의 전당 콘서트홀

지휘자 : Pietari Inkinen
협연자 : Simon Trpčeski (Pf)

Lilburn, Aotearoa Overture
Grieg, Piano Concerto in a, Op.16
Sibelius, Symphony No.5 in E flat, Op.82



시벨리우스는 20세기 초에 활동한 작곡가답지 않게 19세기 음악 어법을 이어가고자 했으며, 그러한 대목은 브람스를 닮았다. 그러나 시벨리우스를 '핀란드로 간 브람스'쯤으로만 여긴다면 그 참모습을 알기 어렵다. 그런데도 많은 음악학자가 시벨리우스 교향곡 5번을 분석하면서 틀에 박힌 생각으로 소나타 형식에 끼워 맞추고자 했으며, 맞지도 않는 틀에 억지로 맞추려다 보니 저마다 엇갈린 의견을 내놓았다.

이를테면 1악장에서 '재현부'는 어디인가? 곡 첫머리에 나오는 모티프가 힘차게 '재현되는' 곳은 마디 106이다. 그러나 템포가 빨라지고 스케르초 음형이 나타나는 곳은 마디 114이다. 그런가 하면 E♭ 장조가 '재현되는' 곳은 마디 158이다. 학자에 따라서는 더 뒤로 가야 재현부가 나타난다고도 한다. 그러나 글쓴이는 지난해 시벨리우스 교향곡 7번 연주회 리뷰에서 이런 말을 쓴 바 있다. "독일 음악 논리로 따지는 조성과 화성으로 된 '뼈대'가 아니라 그 겉을 둘러싼 피와 살, 그 주변의 서늘하면서도 싱그러운 공기와 그 공기를 타고 너울너울 날아오르는 눈송이야말로 시벨리우스 음악의 참모습이 아닐까."

이렇게 생각해보면 어떨까? 교향곡 5번 1악장은 해 뜨는 모습을 담은 교향시다. 곡 첫머리에서 호른이 연주하는 모티프는 막 동틀 무렵이고, 이 모티프가 '재현되는' 마디 106부터 해가 조금씩 보인다. 그러나 해는 전등 켜지듯이 한순간에 떠오르지 않으며, 조금씩 조금씩 날이 밝다가 언제부터인가 해는 떠 있다. 1악장에서 '재현부'를 이루는 알맹이가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는 까닭이 여기에 있지 않을까.

음반을 들어보면 지휘자에 따라 마치 '여기부터 재현부!'라고 선언하듯이 템포를 갑자기 빠르게 하거나 음색을 바꾸기도 한다. 그러나 서울시향을 지휘한 피에타리 인키넨은 '꿰맨 자국' 없이 매끄럽게 해 뜨는 모습을 연출했으며, 핀란드 어느 경치 좋은 곳에 온 듯이 맑고 서늘한 공기가 피부로 느껴질 듯했다. 브람스에 어울리는 묵직한 소리가 아니라 야무지고 시원시원한 소리를 내었으며 쓸데없는 루바토를 쓰지도 않았다. 옥에 티 하나만 말하자면 곡이 끝날 무렵인 'Piu Presto (마디 555)'에서 금관 소리가 너무 커서 현악기가 만들어내는 눈부신 으뜸 화음이 조금은 빛이 바래버렸다.

2악장에서는 콘트라베이스가 뒤로 물러나지 않고 다른 악기와 함께 당당하게 선율을 이끌어간 대목이 썩 마음에 들었다. 콘트라베이스답지 않게 리듬이 굼뜨거나 하지도 않고 나무랄 데 없었다.

3악장에서 저 가슴 벅찬 '백조 주제'가 나올 때에는 백조떼 대신 거위를 타고 날아오르는 꼬마 닐스와 기러기떼를 떠올렸다. 템포가 조금 빨랐고 호른 소리가 생각보다 커서 해질 무렵에 하늘을 날아오르는 듯 들뜬 기분은 좀 덜했으나 그 대신 하늘을 날면서 온몸으로 바람을 맞는 듯한 속도감이 느껴지기도 했다. 무엇보다 호른 네 대가 끊임없이 화음을 연주하는데 눈에 띄는 실수 없이 깔끔하게 잘해서 놀랐다. 연주가 끝나고 지휘자가 호른 연주자를 일으켜 세우면 '브라보!' 하고 외쳐주려고 마음먹었으나 웬걸, 1악장에서 멋진 바순 독주를 들려준 곽정선 수석대행만을 일으켜 세웠다. 호른이 이만하면 꽤 훌륭했는데 지휘자가 눈이 너무 높았던 탓일까. 곡이 끝날 무렵에는 트럼펫이 '백조 주제'를 이끌고 트롬본이 뒤를 받치는데, 이날 트럼펫 수석이 없어서 조금은 걱정했으나 생각보다 연주가 제법 훌륭했다.

피에타리 인키넨은 지휘 동작이 크고 시원시원해서 참 친절하게 지휘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때문인지 정명훈이 지휘하지 않는 서울시향이라고는 믿기 어려울 만큼 앙상블이 훌륭했다. 협주곡에서 오케스트라 반주가 이토록 뛰어난 연주는 처음이라는 의견이 누리꾼들 사이에서 줄을 잇기도 했다. 시향 연주회 일정을 보면 연습할 시간이라고는 뻔한데 이렇게까지 악단을 휘어잡았다면 그 솜씨가 보통이 아니다. 이런 훌륭한 지휘자는 자주 객원 지휘자로 데려왔으면 좋겠다.

인키넨은 뉴질랜드 심포니 음악감독이라는데, 그래서인지 첫 곡으로 뉴질랜드 작곡가 릴번의 아오테아로아 서곡을 연주했다. 현이 이끌어가는 선율과 리듬이 산뜻하면서도 힘찬 느낌이 들었으며, 뉴질랜드 어느 낯선 들판에서 소떼가 신나게 달리는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를 보는 듯했다. 프로그램 노트를 보니 "어떻게 들으면 본 윌리엄스시벨리우스의 남반구 버전"이라 했는데 그 말이 참으로 옳다.

그리그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한 시몬 트릅체스키는 맑고 시원한 음색이 매우 멋졌다. 루바토를 떠벌리듯 쓰거나 파토스를 억지스럽게 앞세우는 일 없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게 연주했고, 그러면서도 서늘하고 투명한 음색과 자연스러운 호흡만으로 입 안에서 녹는 듯 새콤달콤한 맛을 내었다. 곳곳에서 피어오르는 '다크 포스'도 달콤한 맛에 쌉쌀한 맛을 더하는 데 그쳤다. 건반 위로 통통 튀어 올라 햇볕에 반짝이는 듯한 소리는 마치 쇼팽 피아노 협주곡 같았고, 2악장뿐 아니라 1악장과 3악장에서도 마찬가지로 맑게 반짝였다.

정보공유라이선스

김원철. 2009. 이 글은 '정보공유라이선스: 영리·개작불허'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글 찾기

글 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