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2일 금요일

림스키코르사코프: 셰에라자드

예전에 썼던 글의 문체를 바꿔서 새로 쓰고 영문 번역을 추가함.


‹셰에라자드›는 『천일야화』에 나오는 왕비 칭호를 가리키는 제목이다. 원작 『천일야화』는 페르시아어로 되어 있고, 아랍어로 번역된 판본을 프랑스 작가 앙투안 갈랑이 프랑스어로 옮겨서 유럽에 알려졌으며, 영국 작가 리처드 프랜시스 버튼이 옮긴 영어판이 가장 유명하다. 판본이 복잡한 만큼 표기법과 관련해 혼선이 생겨났다.

『천일야화』에 나오는, 페르시아 왕비를 부르는 이름은 본디 샤흐르자드(شهرزاد)이다. 그런데 국립국어원에서는 페르시아어 한글 표기법을 아직 정하지 않았고, 『천일야화』 관련 표기는 프랑스어를 기준으로 셰에라자드(Shéhérazade)를 권장한다. 림스키-코르사코프가 러시아 작곡가이므로 러시아어 표기까지 참고하자면 셰헤레자다(Шехерезада)가 되고, 한국에서는 프랑스어를 국적불명으로 읽은 ’세헤라자데’도 흔히 쓰인다. 이 글에서는 곡 제목으로 국립국어원 기준을 따르되, 작중의 고유명사는 페르시아어를 기준으로 한다.

림스키코르사코프의 교향적 모음곡 ‹셰에라자드›는 『천일야화』의 특정 에피소드를 묘사한 음악이 아니다. 다만, 작곡가는 나중에 악장별로 다음과 같은 표제를 덧붙였다.

  1. 바다와 신드바드의 배
  2. 칼란다르 왕자
  3. 왕자님과 공주님
  4. 바그다드의 축제. 바다. 청동 기병으로 둘러싸인 절벽에서 배가 난파함

작곡가가 자서전에 쓴 설명에 따르면, 1악장 처음에 나오는 짧고 묵직한 음형은 샤흐르야르, 다시 말해 왕을 뜻한다. 그리고 바로 이어서 나오는 바이올린 독주가 셰에라자드를 뜻한다. ‘셰에라자드’ 음형은 ‘이야기’와 ’이야기’ 사이에 조금씩 달라진 모습으로 계속해서 등장한다.

뒤이어서 첼로가 같은 음형을 고집스럽게 되풀이하기 시작하고 비올라가 때때로 거든다. 오르락내리락하는 느낌이 ‘파도’를 닮았다. 바이올린이 그 위에서 ’샤흐르야르’ 음형을 살짝 고친 ‘바다’ 음형을 연주한다. 이 작품에서 샤흐르야르의 사나운 성격은 거친 바다의 이미지와 겹친다. 바다는 때로 거칠고, 때로 잔잔하다.

2악장 ‘칼란다르 왕자’ 이야기를 들려주는 셰에라자드는 더욱 화려하고, 어찌 들으면 요염하다. ’칼란다르’는 본디 종교지도자에게 붙이는 칭호인데, 작곡가가 2악장에 어떤 이야기를 담았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칼란다르도 신드바드처럼 배를 타고 있는 듯하며, 햇볕 따사로운 나른한 오후에 갑판에서 무언가 흥미진진한 ’사건’이 일어나는 모습이 떠오른다.

3악장 ‘왕자님과 공주님’은 달콤한 사랑 노래다. ’셰에라자드’ 바이올린 독주는 이제까지와 달리 음악이 한참 흐르고 나서야 등장하고, 펼침화음으로 마치 협주곡의 카덴차처럼 화려한 음형을 연주한 끝에 오케스트라의 사랑 노래를 이끈다. 마치 ‘왕자님과 공주님’은 다름 아닌 ’샤흐르야르와 셰에라자드’라고 속삭이는 듯하다. ’셰에라자드’를 달리 쓰면 ’샤흐르자드’라 했다. ’샤흐르야르와 샤흐르자드’는 ’아사달과 아사녀’ 또는 ’갑돌이와 갑순이’처럼 사랑 노래가 어울리는 한 쌍이다.

4악장에서는 살타렐로(Saltarello), 타란텔라(tarantella) 등 빠른 춤곡 리듬으로 마구 달리는 가운데 앞선 악장에서 나온 음형들이 이 리듬과 엇갈리고 뒤섞인다. 살타렐로와 타란텔라는 자주 혼용될 만큼 비슷한 춤곡 양식인데, 둘 다 이탈리아 춤곡인 것이 공교롭다. 생각해 보면 아라비아 사람들이 춤추고 놀 때 듣는 전통음악이 무엇인지 얼른 떠오르지 않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신나는 축제 분위기는 ‘바다’ 음형을 만나고 배가 난파하면서 파국을 맞는다. 바다가 잔잔해지면 ‘셰에라자드’(바이올린)와 ‘서툴게 다정해진 샤흐르야르’(첼로 및 더블베이스)가 여운을 주는 대화를 나누면서 음악이 끝난다.

N. Rimsky-Korsakov: Scheherazade

‹Scheherazade› is the title referring to the queen in ‹One Thousand and One Nights›. The original work is in Persian, and its Arabic translation was translated into French by Antoine Galland, gaining popularity in Europe. The English version, translated by Sir Richard Francis Burton, is the most renowned. The intricacies of various editions led to confusion regarding notation and related aspects.

A Persian queen, as in ‹One Thousand and One Nights›, is Šahrazād (شهرزاد).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hich has not yet established a standard for the Korean transliteration of Persian, recommends using “Shéhérazade” based on the French version. Considering Rimsky-Korsakov, the Russian composer, the Russian transliteration becomes Shekherezada (Шехерезада). In Korea, sometimes the French version is mistakenly transliterated so that it sounds like Sɛhɛrazadɛ.

Rimsky-Korsakov’s symphonic suite ‹Scheherazade› does not depict a specific episode from ‹One Thousand and One Nights›. However, the composer later added the following titles to each movement:

  1. The Sea and Sinbad’s Ship
  2. The Story of the Kalendar Prince
  3. The Young Prince and the Young Princess
  4. Festival at Baghdad. The Sea. The Ship Breaks against a Cliff Surmounted by a Bronze Horseman

According to the composer’s description in his autobiography, the short and robust musical motif that appears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movement represents Shahryar (Šahryâr), in other words, the king. The violin solo that immediately follows represents Scheherazade. The musical motif of ‘Scheherazade’ continues to appear throughout, subtly changing between the ‘stories.’

Subsequently, the cellos persistently begin to repeat the same musical motif, while the violas occasionally join in. The undulating sensation resembles the likeness of ‘waves.’ Meanwhile, the violins play the ‘sea’ motif, a subtle alteration of the ‘Shahryar’ motif, atop this undulating background. In this composition, the fierce nature of Shahryar overlaps with the imagery of the tumultuous sea. The sea is at times rough and at times calm.

In the second movement, Scheherazade narrating ‘The Story of the Kalendar Prince’ becomes even more dazzling and, in a way, enchanting. ‘Kalandar’ is originally a title given to religious leaders in Persia, but it’s unclear what story the composer incorporated into this movement. However, like Sinbad, Kalandar seems to be on a ship, and something exciting seems to be happening on the deck on a warm and languid afternoon.

The third movement, ‘The Young Prince and the Princess,’ is a sweet love song. Unlike before, the ‘Scheherazade’ violin solo emerges after a considerable flow of music, playing a flamboyant musical motif akin to the cadenza of a concerto, leading up to the orchestra’s love melody. The music suggests that ‘The Young Prince and the Princess’ are none other than Shahryar and Scheherazade. ‘Shahryar and Scheherazade’ could be alternatively literated as ‘Šahryâr and Šahrazād.’ This linguistic resemblance is reminiscent of lovers in Korean legends or folk tales, such as ‘Asadal and Asanyeo’ or ‘Gapdoli and Gapsuni.’

In the fourth movement, very fast dance rhythms of Saltarello and Tarantella propel forward, with the previously introduced musical motifs from the preceding movements intertwining and blending amidst the rapid dance beats. Saltarello and Tarantella are often interchangeably used terms, given their similar rhythmic patterns. What is intriguing is that both are traditional Italian dances. It’s ironic that it might not be immediately evident to many of us what traditional music the Arabs would dance to.

The festive atmosphere takes a turn for the worse as it encounters the ‘sea’ motif, coinciding with the shipwreck. As the sea calms down, the music concludes with a dialogue between Scheherazade (violin) and Shahryar (cello and double bass), who has awkwardly softened to Scheherazade, providing a lingering imagery.

글 찾기

글 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