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8일 월요일

리게티: 현악사중주 1번, 윤이상: 클라리넷 퀸텟 1번

통영국제음악당 공연 프로그램북에 사용할 글입니다.


리게티: 현악사중주 1번 (1953/1954)

리게티가 헝가리 시절에 쓴 곡이다. 리게티가 존경했던 작곡가 버르토크의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한편으로는 작곡가가 이후 서유럽에서 활동하면서 보여줄 독자적인 음악 양식, 특히 무지갯빛으로 분광하는 음향의 씨앗을 이 작품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곡은 17부분으로 된 단악장 짜임새이다. 중기 이후 작품과 달리 비교적 쉽게 즐길 수 있으며, 특히 민속적이고 해학적인 선율과 리듬, 그리고 독특한 음향적 흐름이 매력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의 부제인 '야상적 변용'(Métamorphoses nocturnes)에서 '변용'이란, 음악학자 이희경의 견해를 따르자면 "변주되어야 할 '테마'가 없을 뿐 기본적인 음악적 아이디어가 항상 새로운 형태로 등장하는 일종의 변주 형태라 할 수 있다." C-D-C♯-D♯ 네 음을 "원형 세포"로 하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형태는 제각각이라는 점에서 전통적인 변주와는 다르다.

윤이상: 클라리넷 퀸텟 1번 (1984)

윤이상은 불교와 도교의 가르침을 서양음악의 틀 안에서 표현하고자 했던 작곡가다. 음양오행, 정중동, 제행무상 등이 윤이상 음악 언어를 이루는 핵심 요소로서 서양 현대음악 어법 속에 녹아 있고, 윤이상은 '해탈'의 순간과 그에 앞선 고행, 또는 해탈을 거쳐 다다른 도(道)의 세계 등을 음악으로 표현하곤 했다.

윤이상 클라리넷 퀸텟은 마치 클라리넷이 현악기 넷에게 가르침을 내리는 듯한 짜임새로 되어 있으며, 음악학자 볼프강 슈파러는 클라리넷이 앞서가다가 때때로 현악기가 따라올 수 있도록 걸음을 늦추는 듯한 모습을 이 작품에서 읽어내기도 했다. 가르침의 내용이 도(道)의 세계라는 점에서 이 작품은 말하자면 영산회상(靈山會相)과 닮은 데가 있다.

볼프강 슈파러는 이 작품이 네 부분으로 되어 있으며, 첫째와 둘째 부분에서 클라리넷이 각각 위아래로 볼록한 반원을 그림으로써 하늘과 땅을 표현했다고 분석한다. 슈파러는 또한 세 번째 부분을 하늘과 땅의 논쟁으로, 네 번째 부분에서 평형으로 돌아오는 짜임새로 보았다. 이것은 결국 천天-지地-인人-도道 짜임새로 요약할 수 있겠다.

이 곡을 초연했던 클라리네티스트 에두아르트 브루너(Eduard Brunner)는 지난 4월 17일 향년 77세로 별세했다.

글 찾기

글 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