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7월 23일 목요일

[펌] Longman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CurrentEnglish.com 사이트가 죽었더군요. 검색엔진에 남아있는 캐시를 뒤져서 퍼옵니다. 그 사이트 주인장님이 비상업적인 용도로는 퍼가도 된다고 하셨으니 저작권 문제는 없습니다.

출처:
http://www.currentenglish.com/cgi-bin/CrazyWWWBoard.cgi?mode=read&num=71&db=theory&backdepth=1

* * *

Longman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1. 영어학습과 문화 지식

EFL 학습자로서 영어를 배우는 이들은 대체로 두 가지 문제를
차례로 극복해야 한다. 첫째는 영어의 문제이고, 둘째는 상식의
문제이다. 후자는 '문화'의 문제라는 말로 바꿀 수 있다.
문화라는 것은 우선 좁은 의미로는 문학이나 영화, 건축 등의
예술을 말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영어 학습자의 눈에 들어오는
문화의 범위를 넓히면 일상 생활의 일종의 관습이나 패턴까지도
해당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영미 등의 영어권 사회에 직접
살아 보거나 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매체를 얻지 않으면 사실상 영어만으로는 알 수가 없는 것이다.

영어의 수동적인 능력이라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극히
소수이던 시절에는 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영어의 생산적 능력이
있는 이들이 하나 둘 나타나기 시작한 시절에도 영어 사용의
문화적인 면은 그렇게 부각되지 않았다. 그런데 영어 사용자가
늘어나고 그들이 기대하는 영어 능력의 기준도 올라가면서 언어
자체를 넘어서 사회문화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밑바탕을 이루는 그
문화적 코드를 이해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는 인식을
하게 된 것이다.

영어의 수동적 기본 능력을 넘어서 생산적 능력을 키우는 사람이
늘어나고 영어 표현력이 상승하면서 영어 사용자들은 깊이 있는
대화나 논리를 나누려고 하게 된다. 영어를 통해 깊이 있는
문화를 나누는 것은 먼저 상식이 통해야 한다. 영어 주 사용권의
문화적 기반을 이해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그래서
문화적 상식에 대한 접근로는 그 나름의 가치를 얻게 된 것이다.

2. Longman 'Culture' Dictionary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영어 사전 시장에 비교적 새롭게 나타난
현상이 바로 'culture' 사전들이다. 이 사전의 선두 주자는
구어체 중심의 영어 사전에 두각을 나타내는 롱맨이다. 그리고
롱맨이 내놓은 사전은 바로 Longman Dictionary of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LDELC) 이다.

LDELC는 영어학습에 '문화'를 내세우는 최초의 사전이다.
1992년에 초판이 나왔고 최근 1998년에 2판이 나왔다. LDELC의
초판이 나왔을 때 많은 학습자들이 그 가치를 알아 본 것은
아니다. 그저 일부의 학습자들만 그 가치를 알아 보고 샀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기존의 사전 개념으로는 Longman Language
Activator
(LLA) 만큼이나 '생소한' 내용의 사전이었다. 이
사전의 판매는 영어 학습자나 사용자의 범위가 넓어지는 만큼
조금씩 알려지고 사용자도 조금씩 늘어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3. ELT + Culture

1998년에 간행된 LDELC 2판은 1판과 마찬가지로 영어 사전과
문화 백과 지식이 혼합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LDELC가
1판에서부터 이러한 형태를 보인 것은 1999년에 '덩달아' 나온
The Oxford Guide to British and American Culture (OGBAC) 의
편집 형식과 크게 대조를 이룬다. OGBAC는 먼저 LDELC처럼
전통적인 개념의 영어 사전으로서의 성격은 전혀 없다. 사전의
제목 그대로 'culture'에 대한 사전일 뿐이다. 일종의 cultural
studies에 속하는 책처럼 상대적으로 더 깊이 있는 내용이 많다.
OGBAC는 영미권 위주의 사회문화에 관련된 표제어만 실었다.
그리고 더 깊은 지식이 필요한 표제어에는 상당히 깊은 글을
추가로 실어 놓았다.

반면 LDELC는 'English Language and Culture'라는 책 제목의
일부가 말해주듯 영어 학습사전과 문화 백과사전을 결합시킨
사전이다.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LDCE)
를 기반으로 하고 비슷한 코퍼스를 이용해서 LDELC의 영어 사전
부분을 제작했다. LDCE의 기본 형태를 따랐다고 하지만 그대로
베낀 것은 아니다. 정의를 빌리더라도 많이 고쳐서 썼다. 예문도
코퍼스에서 새로 가져오거나 교체했다. 특히 1998년에 나온
LDELC의 2판은 코퍼스의 변화된 자료를 게으르지 않게 적절히
이용했다. 혹시나 LDCE의 내용을 LDELC의 영어 사전 부분에다
그대로 베껴서 적당히 만든 것인 줄 알았더니 그것은 전혀
아니었다. 아 물론 그것에 놀라기도 했다. '아, 거의 다 고쳐
썼구나.' 그 철저한 발상에.

4. 사전의 어휘 수의 혼돈

LDELC 2판은 1판과 마찬가지로 영어 학습사전과 문화 백과사전을
잘 결합해 놓았다. 표제어는 영어 단어와 문화 지식이 알파벳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단어 숙어를 포함해서 8만 reference
정도이지만 Della Summers가 밝힌 수는 4만 '단어' 정도이다.
사전의 단어 수는 표제어인지, 파생어를 포함하는지에 따라 그
차이가 크기 때문에 그 용어를 정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 1만5천여개의 문화 표제어가 들어갔다.

5. 결합인가 분리인가

LDELC가 OGBAC처럼 culture를 중심으로 별도의 전문 사전을
만드는 대신에 영어 학습사전과 결합한 형태로 만든 것은 두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먼저 첫 culture 사전의 제작자로서
생소한 culture 사전만을 사기에는 내키지 않아 했을지도 모를
학습자들에게 기존 형태의 영어사전 기능도 같이 한다는 것을
보여 주려고 한 다소 상업적인 목적에서이다. 그 다음은 ELT
영어사전과 culture 전문 사전을 각각 따로 볼 필요가 없이 한
권으로 같이 참조할 수 있게 한 발상이다. 이 두 가지 다
편집자의 생각 속에 있었을 것이라고 본다.

후자의 목적이 얼마나 효과적일지는 더 시일이 지나고
사용자들의 사용 과정이나 결과를 지켜 보아야 파악할 수 있는
문제일 것이다. 사실 나온지 10년이 다 되어가는 사전인데도
그다지 많은 이들이 이용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두
가지 기능을 합쳐 놓은 사전의 현실적인 역할과 그 힘이
어떠할지는 더 기다릴 수밖에 없다.

그에 비하면 OGBAC는 상업적으로는 밀릴 가능성이 농후한데도
과감하게 culture 전문 사전으로 분리해 버렸다. 물론 OGBAC는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ALD) 와 같이 쓰는 게
좋다고 권하는 말을 담고 있다. 그러나, 내용을 보면 OGBAC도
매우 충실하다.

6. 'Culture' 사전의 사용자층

EFL 학습자들이 영어를 보면서 문학, 영화, 정치, 역사 등등
많은 분야에서 쏟아지는 영미 사회의 독특한 정보 지식을 두
사전이 담고 있지만 그 사용자 층도 갈릴 것이다. LDELC는
문화적 지식을 간단하게 담고 있고 게다가 영어 사전도
합쳐 놓아서 영어 능력 자체의 향상에 힘쓰면서 문화적 지식
흡수에도 눈을 돌리기 시작하는 하중급자 이상의 학습자들에게
어울린다. OGBAC는 많은 문화적 표제어를 다루면서도 긴 글로
상세한 설명을 하는 게 잘 되어 있어서 간단한 설명 이상의 글을
원하는 상중급자 이상의 학습자들에게 적합할 것이다.

7. 별다른 변화가 없는 롱맨 2판

LDELC는 1판에서 2판으로 바뀌면서 별로 바뀐 것은 없다.
표제어는 소수만 삭제하거나 추가한 것을 빼고는 설명이나 예문
등이 거의 그대로이다. 눈에 뛰는 변화라고 해야 전체적으로
폰트가 바뀐 것, Usage를 상자로 두드러지게 한 것, Cultural
Note 부분을 음영으로 처리해서 부각시킨 것, Cultural Note의
내용을 많이 고쳐서 쓴 것, 흩어져 있던 삽화를 집중시킨 것
정도다. 표제어 대부분이나 내용은 거의 1판의 것을 그대로
뒀다. 자세히 보면 표제어 레이아웃의 변경 등 조금씩 손을 댄
부분도 보여서 전체적으로 다 검토는 한 것 같다. 그렇지만
2판으로 오면서 일이 많아서 그랬는지 전체적으로 다시 쓰는
정도의 개정은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8. [U]의 독보적 감각 삽입

LDCE에 대해서 내가 쓴 평가를 보면 명사에 [C]ountable 표시를
집어 넣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데 묘하게 LDELC에서는 그것을
고쳐 놓았다. 즉 [S], [C], [U] 등이 같이 나타나지 않는 이상
[C] 자체는 기본으로 생략하고 [U]만 있는 명사를 '예외적으로'
표시하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다. 학습자들이 주의해야 할
Uncountable을 비롯한 [P], [S] 등의 표시를 마찬가지 방식으로
부각시킨 것도 매우 좋은 방법이다. [F], [A] 등의 형용사에
대한 용법을 표시하는 grammar code도 효과가 좋다. 1판에서도
[U]의 '예외적 표시'라는 방식을 사용하는 게 들어갔는데
LDCE에서는 왜 현재의 판도 그렇게 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9. WSP 표시의 장점

LDELC의 두드러지는 장점 하나는 바로 WSP (Word-Specific
Preposition) 의 표시법이다. 표제어와 발음, 품사 기호 다음에
WSP를 표시하여 주요 단어와 빈번하게 결합해서 쓰이는 전치사
등을 눈에 잘 띄게 표시했다.

10. 예문 단어 수준의 탈출구

사전의 예문에는 롱맨이 내세우는 2천 정의용 단어를 넘어서는
단어를 쓸 일이 나온다. 이런 단어를 LDELC에서는 'swollen
BLOOD VESSELS (=blood-carrying tubes)' 처럼 바로 뒤따르는
괄호 안에 설명하고 있다. 숙어에서도 'make an issue of it 
(=quarrel about it)'
처럼 다시 그 뜻을 풀어 주고 있다.
어휘는 많이 만나야 늘어난다. 2천 정의용 단어가 '온실 속의
화초'를 키우는 지금의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이러한 방법을 더
많이 고안해야 한다. 이런 방식으로 하면 정의에 꼭 써야 하는
단어의 수준을 일부러 낮추지 않아도 같은 영역에서 추가 해설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LDCE 사용자와 LDELC 사용자를 비교하자면 같을 수는 없다.
LDCE는 특히 signpost의 구성이 잘 되어 있기 때문에 전문 ELT
영어사전으로서는 월등하다고 할 수 있다.

11. 사전의 결합, 방법이 중요

culture 사전 사용자 중에서도 culture 사전을 OGBAC처럼
전문 문화 사전으로 분리해 주었으면 하는 이들이 있는가 하면,
사전을 따로 쓰기 귀찮으니 LDELC처럼 합쳐 주는 게 좋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문 사전은 그 종류가
무척 다양하기 때문에 통합한다고 생각하면 thesaurus, idioms,
etymology, synonyms 등 후보는 많다. 잘못 합치면 망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어떻게 합치느냐가 더 중요한 문제이다.
culture는 아직은 초기 발전 단계이기 때문에 앞으로 지켜 봐야
한다. 당장은 이런 종류의 사전의 발달 과정에서 더 많은 문화
지식을 읽고 싶으면 OGBAC를, 영어 사전과 문화 지식이 결합된
틀로 사용하고 싶으면 LDELC를 사용하면 된다.

12. 문화: 백과사전을 보라

물론 문화를 더 깊이 알고 싶으면 Encyclopedia Britannica (EB)
같은 훨씬 더 폭이 넓고 깊은 문화 지식을 제공하는 전문
백과사전을 참조해야 할 것이다. 그러면서도 LDELC 같은 영어
학습을 위한 보조 자료로 나온, 문화지식을 포함하는 영어사전은
특히 영미인들이 영어 학습과 관련해서 그 사회에서 의사소통을
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위주로 모아 놓은 책이기 때문에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당장 EB 같은 큰 백과사전을
구하거나 읽기가 힘든 이들은 일종의 reader처럼 수준을 조절해
놓은 사전이 지금 꼭 필요한 형편에 있는 학습자도 많기
때문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LDELC는 하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이 영미권의
문화 지식 정보 흡수라는 목적을 가지고 일반적인 영어 학습에
더불어 사용할 수 있는 좋은 문화 지식 포함 영어사전이다. 지금
이런 사전이 OGBAC 외에는 거의 없는 상황에서는 매우 잘
만들어진 사전이고 최근의 2판에서는 그 레이아웃이 더 나아진
것으로 보인다.

13. 문화: 수동적 지식과 능동적 지식의 수준

의사소통을 위한 문화라는 것은 이런 사전을 이용한 간단 지식의
흡수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솔직히 말하건대, 이
사전에 있는 지식 정도로는 어떤 것을 영미인들이 말하거나 썼을
때 그 영어의 문화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는 있다.
그렇지만 학습자가 스스로 어떠한 것에 대해서 영어로 주장을
하고 설득력 있는 논지를 펴는 데 동원할 문화적 지식으로는
여전히 부족하기 짝이 없다.

사전 편찬자들은 이런 저런 정보를 간단하게 이러한 미니
백과사전 방식으로 넣으려고 노력했지만 수동적인 이해를 넘어서
능동적으로 논리와 문화 이해가 뒷받침되는 영어 능력을
바라려면 다방면으로 꾸준히 많이 읽고 보아야 한다. 특히
자신의 전공 분야에 간접적으로 연관된 지식 정보는 부단히
흡수하는 노력을 해야 깊이 있는 영어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물론 LDELC만 사용해도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난망인 상태는
벗어나게 할 것이니 얼마나 좋은 일인가 말이다.

14. 문화 중심 영어 능력으로 가는 길라잡이

문화 지식이라는 것은 차 한 잔 마시면서 가볍게 나누기 위한
일반 상식의 수준이 있는가 하면, 전문적인 분야에 대한 대화나
세미나, 저술 등의 지식 교류도 있다. 차 한 잔 마시면서 서로
드러내는 상식은 그 자체로 크게 유용할 리는 없지만, 전문
분야에 대한 높은 수준의 만남으로 이끄는 길잡이 구실을 하는
것도 현실이다. 격조 높은 만남도 상식적인 이야기를 통해
가까워진 다음에나 가능한 게 다반사이기 때문 아닌가? 한국인
EFL 학습자들의 전반적인 영어의 문화적 격을 높이는 도구로 이
사전이 하나의 징검다리의 역할을 하기 바란다.

HK

글 찾기

글 갈래